[스크랩] 5장 소비재 및 산업재 구매행동의 이해
5장 소비재 및 산업재 구매행동의 이해
1. 소비자 구매행동의 유형
<표 5.1> 소비자 구매행동의 유형
고관여 구매행동 |
저관여 구매행동 |
1. 복잡한 구매행동 2. 부조화 감소 구매행동 |
1. 습관적 구매행동 2. 다양성 추구 구매행동 |
고관여 구매행동(High-involvement Buying Behavior)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의사결정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개인적인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경우 → 신중한 의사결정을 하려고 노력
1) 복잡한 구매행동(Complex Buying Behavior)
? 소비자들이 구매에 높은 관여를 보이고 각 상표간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
제품을 구매할 경우
2) 부조화 감소 구매행동(Dissonance-Reducing Buying Behavior)
? 구매하는 제품에 대해 비교적 관여도가 높고, 제품의 가격이 비싸고, 자주 구매하는 제품이 아니면서 구매 후 결과에 대해 위험부담이 있는 경우, 각 상표간 차이가 미미할때
저관여 구매행동(Low-involvement Buying Behavior)
소비자들이 그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적고 별로 중요한 구매 의사결정이라 생각하지 않거나 제품의 구매가 긴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
1) 습관적 구매행동(Habitual Buying Behavior)
? 낮은 관여도를 보이며 상표간 차이가 미미한 경우
→ 소비자들이 어떤 상표에 대한 확신이 없으므로 가격할인, 판촉 등의 사용이 효과적
2) 다양성 추구 구매행동(variety-Seeking Buying Behavior)
? 구매하는 제품에 대해 비교적 저관여 상태이며 제품의 상표간 차이가 뚜렷한 경우
? 다양성 추구 구매를 하기 위해 소비자들은 잦은 상표 전환을 하게 됨
ex) 신라면을 먹고 다음에는 뉴면을 선택
→ 제품에 대한 불만족이 아니라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한 상표전환
2. 구매의사 결정과정
<그림 5.1> 구매의사결정과정의 5단계
필요의 인식(Need Recognition)
실제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감지할 때 문제 또는 필요를 인식하게 됨 → 구매행동의 유발
정보의 탐색(Information Search)
? 내적탐색(internal search)
: 소비자의 기억 속에 욕구를 충족시킬만한 대안이 떠오르는 경우
? 외적탐색(external search)
: 내적 탐색만으로는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킬 해결책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 외부에서 정보를 찾는 것
1) 정보의 원천
? personal sources(가족, 친구, 이웃) → 제품의 평가
? commercial sources(광고, 판매원, 포장, 진열대)
→ 상품의 존재나 기능에 대한 정보제공
? public sources(신문, News, 소비자 보호협회)
? experiential sources(상품경험)
2) 탐색의 정도 = f(욕구의 정도, 탐색전에 이미 갖고 있는 정보의 수준, 추가 정보 획득의 용이성, 탐색으로부터 얻는 만족)
<그림 5.2>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의사결정 시 선택집합의 결정과정
대안의 평가(Alternative Eval!uation)
많은 상표 중 특정 상표의 선택을 위해 각 대안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1) 일반적 가정
: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상품의 속성들(attributes)을 따져서 의사결정 함
2) 대안평가와 관련된 주요개념
? 제품속성들의 묶음(bundle of product attributes)
→ 소비자들은 제품의 획득을 통해 자신의 필요를 만족시키며, 제품을 자신들의 필요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제품속성 들의 묶음으로 파악함
대안의 평가(Alternative Eval!uation)
2) 대안평가와 관련된 주요개념 ? (2)
? 속성의 중요도 : 소비자들의 의식 속에서 쉽게 떠오르는 것이 아닌 소비자가 진정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평가기준)
? 상표신념(brand beliefs) : 각 상표대안 들이 각 속성상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가에 대한 소비자 믿음
<표 5.2> 중형차에 대한 소비자 속성평가의 가상적인 예
속 성 | ||||
자동차 |
제조사 명성 |
연비 |
엔진성능 |
가격 |
EF Sonata |
10 |
7 |
6 |
8 |
Magnus |
9 |
6 |
8 |
9 |
Optima |
6 |
8 |
7 |
7 |
SM5 |
7 |
6 |
10 |
5 |
3) 보상적 평가모형
소비자의 대안평가에 있어서 한 가지 속성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대안이
다른 속성에서 점수를 만회할 수 있는 방식의 평가모형
※ Fishbein model
n
Ajk= ΣWikBijk
i=1
Ajk : 소비자의 k의 상표 j에 대한 태도
Wik : 소비자 k가 속성 i에 부여하는 중요도
Bijk : 소비자 k가 상표 j로부터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속성 i의 양
n : 주어진 상표의 선택에 있어 중요 속성의 숫자
3) 비보상적(noncompensatory) 평가모형
어떤 속성에서 최소 수준에 미달하여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다른 속성에서 만회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대안 평가 모형
? 결합식 모형(Conjunctive model)
: 소비자가 원하는 속성의 최소수준 이상을 만족시키는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
? 분리식 모형(Disjunctive model)
: 소비자가 원하는 속성에서 최고수준의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
? Lexicographic model
구매의사결정(Purchase Decision)
? 다른 사람의 태도(ex; 부인, 남편의 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줌
※ 남편이 상표대안 A보다 D를 더 선호하면, Prob.(purchasing A)이 낮아짐
①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표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선호도
② 다른 사람들의 바람에 따르려는 소비자의 욕구 강도
BI= ΣwikBijk + ΣSNBl · MCl
SNB : Social Normative Belief
MC : Motivation to comply
? 예기치 못한 상황적 변수들 : ex) 실업, 다른 상품의 구매가 더 시급
구매 후 행동(Postpurchase Behavior)
? 제품구매 후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만족 혹은 불만족 등의 반응을 나타내며 이는 다시 구매 후 행동으로 이어짐
? 소비자들의 구매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은 소비자들의 기대와 제품의 지각된 성능간의 차이에 의해 결정
S = f(E, P)
S = Satisfaction, E : Expectation, P : Perceived performance
? 대부분의 제품이 결점과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자신이 구매한 제품에 완전히 만족하는 경우는 드뭄
→ 인지부조화 또는 심리적 불편을 경험
: 환불 또는 교환을 하거나 합리화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관찰됨
3.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림 5.3>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적 요인(Personal Factors)
<그림 5.4> 개인적 요인
심리적 요인(Psychological Factors)
<그림 5.5>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Socical Factors)
<그림 5.6>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Cultural Factors)
<그림 5.7> 문화적 요인
4. 산업재 구매행동
산업재 시장의 특성
1) 시장 구조와 수요
① 고객 : 조직 ?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업 또는 distributors
→ 대량 구매
? 수가 적다.
? 개개의 거래 액수가 크다
? 구매의사결정에 많은 사람이 참여
? 구매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이 걸리며 정형화되어 있는(structured) 경우가 많다.
② 수요 : Devided demand(2차적인 수요, 즉 소비재에 대한 욕구로부터 유도)
1) 구매의사 결정
신구매 최초구매상황 (많은 사람 참여, 필요 정보의 양도 많음) |
변형된 재구매 (中間) |
순수 재구매 (일상적으로 되풀이되는 구매상황) | |
1. 문제의 인식 2. 필요에 대한 대체적 특징과 수량 결정 3. 필요에 대한 구체적 특징과 수량 결정 4. 공급자 탐색 5. 공급제안의 유도 6. 공급자 선택 7. 주문 8. 공급자 실적평가 |
○ ○
○
○ ○ ○ ○ ○ |
가능 가능
○
가능 가능 가능 가능 ○ |
아니오 아니오
○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 |
구매의사결정 참여자
<Buying Center>
: 산업재 구매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구매조직
산업재 구매의사결정 과정
<표 5.4> 공급업자 분석의 예
평가 점수 | |||||
수용불가능(0) |
나쁨 (1) |
보통 (2) |
좋음 (3) |
뛰어남 (4) | |
기술 및 생산능력 가격 경쟁력 제품의 질 배달 납기의 신뢰성 서비스 능력 4+1+4+3+4=16 평균점수 : 16/5=3.2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