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경영학의 이해 12 기업 경영과 정보시스템
12장 기업 경영과 정보시스템
학습목표
정보시스템 개념 및 구성요소를 이해한다.
정보시스템 발전과정과 유형을 살펴본다.
정보시스템 구축 필요성을 이해한다.
기업에서의 정보시스템 역할을 습득한다.
정보시스템의 효과를 학습한다.
조직기능별 하위정보시스템을 이해한다.
1. 정보시스템의 개관
2. 기업에서의 정보시스템 역할
3. 정보시스템의 효과
4. 조직기능별 하위정보시스템
1. 정보시스템의 개관
1.1 정보시스템의 개념
데이비스와 올슨(Davis & 01son)에 의하면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은 "조직내에서의 일상적 운영, 경영 및 의사결정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된 인간-기계 통합시스템"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무절차 및 분석, 계획, 통제, 의사결정을 위한 모형(model)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즉,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상적 운영(operation), 경영관리(management),
분석(analysis),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을 지원한다는 것은 정보시스템의 목적이다.
그리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미는 정보시스템이 수집된 자료를 이러한 일상적 운영, 경영관리, 분석,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기능을 뜻하는 것이다.
그러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상적 운영, 경영관리 및 의사결정의 지원은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겠지만 오늘날에 있어서는 컴퓨터시스템의 사용과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외하고는 생각할 수가 없다.
인간과 컴퓨터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우수한 과업실행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보시스템은 이러한 인간과 컴퓨터의 개별능력을 조화시킴으로서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를 누리도록 하여야 한다는 의미에서 정보시스템은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인간 기계의 통합 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1.2 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
(1) 하드웨어(hardware): 하드웨어는 입력, 처리, 출력,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장비이다.
입력 장치에는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마그네틱 입력장치 등이 있으며, 처리장치에는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이 있으며, 출력장치에는 프린터, 컴퓨터 스크린 등이 있다.
(2) 소프트웨어(softwar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작업을 지시하는 프로그램들의 집합체이다.
이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급여업무를 처리하고, 고객에게 청구서를 발행하며, 경영자에게 이익 및 고객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명령을 내린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운영을 통제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워드프로세서나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특정업무지향적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있다.
(3)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조직화된 사실 및 정보들의 집합체이다.
여기에는 고객, 종업원, 재고, 거래처리 기록, 경쟁업자의 매출액 등의 내용이 들어 있다.
(4) 통신 및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and network) 통신은 조직의 컴퓨터시스템을 서로 연결시켜준다.
통신은 기업이 지리적, 시간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보다 빠른 제품생산, 신속한 의사결정, 보다 다양한 신제품 생산, 새로운 시장으로서의 진출 등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또한 기업이 고객 및 공급업자의 관계를 새롭게 구축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네트워크는 한 건물 내에 있는(또는 한 국가에 있는, 혹은 전세계에 퍼져있는) 컴퓨터 및 주변장치들을 서로 연결시켜준다.
통신과 네트워크는 최근 E-mail이나 voice-mail을 통해 사람들이 서로 의사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최근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internet)이나 인트라넷(intranet)은 기업경영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5) 사람(people): 정보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사람이다. 정보시스템 요원은 컴퓨터시스템을 관리, 운영, 프로그램작성, 유지하는 모든 사람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들로는 개발된 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재무, 인사, 마케팅, 제조 등의 경영자 및 관리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 종업원까지 포함된다.
(6) 절차(procedure): 정보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 정책, 방법, 규칙들을 말한다.
어떤 절차들은 누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권한을 가져야 할 것인가를 기술하고, 또 어떤 절차들은 화재나 사건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관한 보안대책을 나타낸다.
1.3 정보시으템 발전과정과 유형
정보시스템은 1950년대에 회계전표 처리와 같은 기본적인 거래처리를 다루기 위한 운영적 수준의 시스템(operational level systems)으로 시작되었다.
1960년대 말, 관리 수준의 시스템(management level system꼬이 감시와 통제용으로, 그리고 1970년대에는 계획과 시뮬레이션용으로 사용되었으며, 1980년대에 접어들어 정보시스템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s)과 전략정보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s)으로 확대, 발전되었다.
오늘날 정보시스템은 새로운 지식작업시스템(knowledge work systems), 기업차원의 데이터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응용프로그램, 기업 전체를 연결해주는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창출, 보급하고 있다.
적어도 40여년간에 걸친 정보시스템의 발전과정 속에서 다양한 정보시스템이 출현하게 되었다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흔하게 활용되는 정보시스템들로는 사무정보시스템, 거래처리시스템, 경영보고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전문가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기업 구성원들의 판매기록, 급여처리, 의사결정지원, 대규모 프로젝트의 대안제시 등 일상적인 일에서부터 비일상적인 일에 이르는 다양한 업무들을 수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보시스템은 기업조직의 경영활동수준에 따라 상이한 시스템 특성이 갖추어 질 때, 그 활용성과가 보장된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시스템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직의 경영활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조직의 경영활동은 그 수준에 따라 전략계획, 경영통제, 운영통제로 나눌 수 있다.
전략계획(strategic planning)은 기업활동 가운데 주로 장기적인 측면을 다루는데 그와 관련된 것으로서 의사결정으로는 기업의 방향설정, 시장전략, 제품믹스 등을 들 수 있다.
경영통제는 주로 자원 획득과 조직업무의 구조화, 인적자원의 확보 및 교육훈련을 다룬다.
운영통제(operational control)는 현재의 업무 운영에 대한 단기적인 의사결정과 관련된 것으로 주로 가격수준, 생산수준, 재고수준 등을 결정하는 활동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한 관리자의 업무에는 이러한 세 유형의 경영활동이 혼합되어 있지만, 그 혼합비율은 관리계층에 따라 각기 다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최고경영층으로 갈수록 전략계획 활동의 비중이 커지고, 하위 계층으로 갈수록 운영통제 활동의 비중이 커진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유형의 경영활동에서 요구되는 정보의 특성은 달라지는데, 구체적으로 다음의 I표 12-l]와 같다.
(표 12-1) 경영활동 수준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의 특성
가. 정보원천: 조직내부 <-> 조직외부
나. 범위: 잘 정의되고 좁다 <-> 매우 광범위하다
다. 취합(aggression)의 정도: 세밀하다 <-> 총체적
라. 시간범위: 역사적 <-> 미래적
마. 현재성: 매우 현재적 <-> 매우 오래됨
바. 정확성의 요구: 높다 <-> 낮다
사. 이용빈도: 높다 <-> 낮다
1) 사무정보시스템
사무정보시스템(OIS: Office Information Systems, 또는 Office Automation Systems)은 적절한 기술의 지원을 기반으로 사무실 지식 근로자들의 업무와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의사소통을 향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지식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무정보시스템은 전통적인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최근 도입된 인트라넷, 그룹웨어 등을 기본 요소로 하고 있으며 개인에서 집단, 조직을 대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는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속도를 향상시키면서 기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해주고 있다.
2) 거래처리시스템
거래처리시스템(TPS: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은 가장 기본적인 단계의 정보시스템으로,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거래처리활동을 기록하는 정보시스템이다.
거래처리시스템은 경영활동의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고 사무노동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거래처리시스템은 오늘날의 기업조직에 있어서 안될 것으로 자리잡고 있다.
가령 증권이나 은행, 혹은 항공사의 거래처리시스템이 단 하루만이라도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하겠는가?
이러한 거래처리시스템은 주로 운영통제와 이에 따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3) 정보보고시스템
정보보고시스템(IRS: Information Reporting Systems)은 경영자에게 보고서를 제공하거나 조직의 역사적 기록과 현재의 상태에 대한 온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이다.
이는 주로 마케팅, 생산, 재무 등의 기능적 활동을 담당하는 중간관리계층의 계획, 통제활동 및 그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시스템으로 공통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정보보고시스템은 거래처리시스템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와 정보를 가공 및
요약하여 표준화된 보고서를 제공한다. 경영정보시스템은 조직 외부환경에 관한 정보보다는 조직 내부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4)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s)은 경영자들이 비구조적
(unstructured) 또는 반구조적(semi-structured)이고, 특별하거나 쉽게 변하며, 사전에 쉽게
정의 내릴 수 없는 의사결정문제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보시스템이다.
이것은 거래처리시스템이나 정보보고시스템에 비해 보다 분석적이며, 필요한 정보는 조직 내부뿐만 아니라 조직의 외부에도 많은 부분을 의지한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화식(interactive) 환경을 제공한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시스템과의 관계를 조정하는 대화시스템(dialog system),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정보원천인 데이터베이스시스템(database system)
비교적 간단하고 응통성있는 모델을 많이 구축하여 두었다가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델베이스시스템(model base system), 다른 의사결정지원시스템 하위시스템을 조정하는 소프트웨어시스템(software system) 등 네 가지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중역 정보시스템
중역정보시스템(EIS: Executive Information Systems)은 첨단 그래픽과 통신을 통해 고위 경영층 비구조화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전략적 수준의 정보시스템이다.
중역 정보시스템은 고위경영층들이 조직의 성과를 파악하고, 경쟁업자들의 활동을 분석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기회를 확인하며, 추세를 예측해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중역정보시스템은 모델링 및 분석 도구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Lotus, Excel 또는 그와 다른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시간, 지역, 제품, 가격대 등을 기준으로 각각의 그래픽 데이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비교적 좁은 범위의 의사결정 상황에 모델링툴과 분석툴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 중역정보시스템은 비교적 넓뜬 범위, 가령 조직의 성과와 같은 상태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6) 전문가시스템
인공지능의 연구분야 가운데 현실적인 문제를 가장 많이 다루면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분야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s)이다.
전문가시스템은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와 추론기관(inference engin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구성된 것으로, 지식을 기반으로 추론에 의해 대상영역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문가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전문가시스템은 원자로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모니터하거나, 발생가능한 문제점들을 진단하거나, 또는 신제품이나 신투자전략을 위한 마케팅활동을 계획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1.4 정보시스템의 필요성
1) 정보의 급증
수없이 많은 정보가 유통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속에서 기업은 매일 엄청나게 많은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영자들은 꼭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의사결정에 이용할 필요 있는데, 이를 위해 정보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경영자들은 정보시스템을 통해 수많은 정보들 가운데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선택(filtering)함으로써 의사결정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 급격한 환경변화
정보시스템이 필요한 또 하나의 이유는 급격한 환경의 변화이다.
과거와 같이 연속적인 환경 속에서는 미래의 예측에 있어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종전과 달리 불연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상품의 수명주기가 길어야 1년이거나 보통 수개월 정도이며, 소비자들의 기호 역시 차별화, 고도화되었다.
게다가 무역의 장벽이 낮아지고 교역이 자유로와지면서 경제가 점차 세계화이다 보니 국내의 소비자 뿐만 아니라 외국에 있는 고객들까지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과거에 한 두 가지 환경에만 잘 대처하고 경쟁개업의 전략만을 고려해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었던 여건과는 달리, 이제 각 기업들은 수많은 경영환경들을 고려해야 하고 또한 그들의 변화에 항상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입장이 되었다.
결국 생존을 위해서 각 기업들은 다양한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 정보시스템은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되어버렸다.
3) 기업내 각 부서간 상호의존성의 확대
과거에 비하면 지금의 기업은 마치 거대한 공룡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은 양적,
질적으로 확장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 또한 상상할 수 없으리만치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과거와 같이 얼마 안되는 숫자의 부서로만 기업이 구성되어 있고 각 부서간의 정보흐름이 그리 많지 않았을 때에는 그에 대한 조정과 통제의 기능이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기업내 각 부서간 상호교류도 활발하고 그에 따른 의존성도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사정에 비추어 볼 때, 과거와 같은 방법으로는 부서간의 의견조정 및 통제를 통한 기업이익의 추구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결국에는 서로 이질적인 각 부서간의 업무를 조율하고 점차 심화되고 있는 의존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를 경영자들은 요구하게 되었으며 정보시스템은 이러한 경영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4) 생산성 향상
정보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수작업에 의해 상품을 생산하고 그 거래처리 역시 수작업으로 한다고 가정해 보자.
특히 하루에도 수천, 수만 가지 상품을 수출하고 수입하는 무역회사에서 과거의 업무처리 방법을 그대로 적용한다고 할 경우, 벌어지는 결과는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제조기업에서는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장자동화를 실시하고, 유통기업에서는 모든 거래의 기록 및 처리를 전산시스템에 의해서 실행한다면 불필요한 업무를 줄일 수 있고 일에 있어 효율성을 기할 수 있고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5) 세계화
오늘날 우리는 경제, 사회, 문화, 정치 등 그 어느 분야에서도 한 국가 혹은 한 사회만을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세계화(globalization)시대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역시 세계화시대의 한 일원으로서 세계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에 대처할 준비가 항상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정보의 신속한 수집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한데, 특히 국내에서의 경쟁과는 또 다른 새로운 경쟁요인에 수없이 부딪히게 될 경우를 감안해 본다면 기업이 생존과 성장을 위한 정확하고 빠른 정보의 수집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경영자들은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그 처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관심 속에서 정보시스템이 주목은 받게 된 것이다.
이외에도 기업관리의 복잡성의 증가와 자원으로서 정보를 인식하게 된 결과로 정보시스템을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6) 경쟁우위의 확보
기업조직은 보다 능률적이고, 비용을 절감하고, 노동력을 덜 들이기 위해 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정보시스템은 기업이 현재의 경영상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한편 경쟁우위의 원천(competitive advantage)이 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이 정보시스템 도입의 근거를 제시해준다.
가령, 어떤 기업은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다른 어떤 것보다(가령. 각종 조직적 인센티브) 혁신적 수단(즉, 경영혁신의 도구)이 될 순 있기 때문에 이를 도입 구축한다.
정보시스템은 기업에 제공해주는 직접적인 경제적 혜택과는 관계없이 기업이 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어떤 기업은 조직 내 다양한 집단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그 외에도, 정부규제, 경쟁사의 행위, 비용 등과 같은 기업 환경상의 변화로 기업은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한다.
2. 기업에서의 정보시스템 역할
1) 업무실행에의 참여
정보시스템은 다음의 세 가지 방법으로 작업실행에 참여한다. 정보시스템은 업무를 자동화시키거나, 정형화시키거나, 간편화시킨다. 업무의 자동화(automating)는 정보시스템이 사람이 수행한다면 다른 방법으로 행 할 작업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고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거래실적이 예외적으로 높은 고객들을 찾아내는 정보시스템이 이러한 예이다.
업무의 정형화(formalizing)는 정보시스템이 통일성과 효율성을 갖는 방법과 절차를 수립하고 이러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판매부서에서 모든 거래 보고를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면, 거래보고 과정이 정형화될 것이다 업무의 간편화(facilitating)는 담당자가 자신의 자유재량과 창의성을 잃지 않고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정보를 정보시스템이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객의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은 은행의 대출 결정 또는 이자율 결정 과정을 간편화시킬 것이다.
2) 시스템 내의 계획, 실행, 통제의 연결
경영과정은 계획과 실행, 통제를 포함하는 피드백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계획과 통제활동은 전체 조직 또는 특정 하위시스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방향과 조정을 제공한다.
계획과 통제활동은 공통적인 성과기준을 설정하고 이러한 기준이 달성되도록 만든다.
계획과 실행, 통제를 포함하는 피드백 과정은 업무가 계획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획과정은 일의 표준과 언제 무슨 일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일이 실행되면, 통제과정에서 사용되는 정보가 생성된다.
통제시스템은 정보를 각기 실행과정과 계획과정으로 되돌려 보낸다.
일이 계획대로 실행되도록 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최근의 작업성과와 표준 또는 작업일정을 비교하여 만약이 경우 발생하는 편차에 대해서는 그것을 보충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계획은 그 자체가 정보이고 통제는 일이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사용하므로 계획과 통제는 정보집약적인 활동들이다.
업무 유형에 따라 실행 부분은 정보시스템을 포함하기도 하고 포함하지 않기도 한다.
제품의 설계, 고객명단의 처리, 계산서 작성과 같은 실행활동들은 모두 정보에 초점을 맞추고 특정 유형의 정보시스템을 요구한다.
반대로 바이얼린을 만들거나, 종업원에게 카운슬링을 하거나, 트럭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실행 활동에 대해서는 정보시스템이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3) 하위시스템의 통합
정보시스템은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통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의 조직이 여러 가지 다른 조직도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것처럼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하위시스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두 시스템(또는 하위시스템)사이의 관계는 종종 인터페이스(interface) 정도의 통합의 정도로 설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재무회계시스템은 일주일에 한번씩 생산부로부터 요약된 생산정보를 받는다.
통합된 시스템에서 적어도 한 시스템의 내부작동이 다른 시스템의 작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령, 재무정보시스템과 생산정보시스템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한다.
인터페이스하는 시스템에서 어느 한 시스템에서는 한 시스템에서 발생한 사건이 즉시 다른 시스템의 운영에 반영된다.
통합과 인터페이스의 양극단에서, 완전히 통합된 시스템은 개별 하위시스템들의 정체성(identity)을 상실하고 단일한 시스템이 되며, 반면에 최소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 시스템들은 상대 시스템에 따라 미미한 영향을 미칠 뿐이다.
두 시스템 사이의 통합과 정도는 한 시스템이 상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반응하는 속도와 같은 깊은 관련이 있다.
생산시스템과 판매시스템 사이의 통합을 생각해보자. 고도로 통합된 시스템에서, 생산시스템은 고객이 새로운 주문을 하는 즉시 주문정보를 받아 제품을 신속히 발송한다.
이보다 덜 통합된 시스템에서는, 주문은 가끔씩(일주일마다 또는 한달마다) 입력되고 제품은 공장의 편의에 따라 일괄적으로 발송된다.
오늘날의 경쟁 환경에서 판매시스텔과 생산시스템의 통합의 정도는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Motorola사는 무선호출기를 주문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2주일에서 2시간으로 단축시켰다.
고도로 자동화된 생산시스템은 주문이 들어온 뒤 17분 이내에 생산을 시작한다.
시스템의 긴밀한 통합이 바람직하다 하더라도, 하위시스템이 다른 하위시스템에 너무 자주반응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각 하위시스템이 일을 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정보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들도 종종 통합된 정보시스템의 구축을 꺼려한다.
그들은 두개 시스템을 분리시켜 이들이 주어진 일정에 따라 인터페이스하도록 만드는 것을 더 좋아한다.
이렇게 두 개의 시스템을 통합시키는 대신 독립된 시스템으로 만들어 인터페이스시키면,
하나의 커다란 문제를 각기 독립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두 개 작은 문제로 분할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필요한 시스템을 보다 빨리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게한다.
특히 새로운 시스템의 요구되는 기능이 불안정하거나 기업 상황이 급속히 변화할 때에는, 모듈(module) 개념을 사용하여 각 하위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각 하위시스템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정보시스템의 효과
3.1 업무처리의 효율화
미국 경영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등장 이후 경영학의 이론적 분야와 기업의 실무적 분야에서 강조되어온 내용 중의 하나가 바로 업무의 효율화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이것은 상호독립된 분야에서의 효율화와 합리화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생산부문에 있어서와 FA(Factory Automation)나 사무업무처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OA(Office Automation)에 대한 강조가 그러한 것이다.
그러나 보다 앞선 기업경영을 위해 이렇게 독립분야만의 효율성 추구차원(suboptimization)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업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파악하여 전체적 차원에서의 합리화를 이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예컨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기업 내의 복수부문에 걸친 업무의 중복이나 시간적 손실의 배제, 재고 및 조달기간(lead time)의 단축, 거래기업간의 물류시스템 등이 바로 그것이라 하겠다.
3.2 의사결정의 적합성, 신속성의 증가
현대조직이 거대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조직이 설정된 목표대로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환경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인식을 바탕으로 적절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경영활동 그 자체라고 할만큼 기업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이다.
급격한 기업환경의 변화 속에서 적합하면서도 신속한 의사결정은 기업에 경쟁적 우위를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의사결정은 미래지향적이어야 하고 장래의 환경여건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현대의 환경에서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합리적으로 시스템화된 대안을 채택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통신 기술의 적절한 활용은 이러한 의사결정을 가능케하여 합리적인 경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은 종합적으로 경영의 내, 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 내의 기획, 제조, 판매, 재무 등을 결합한 종합적인 네트워크의 구축, 본점과 지점간 기업 내의 신경계통의 정비, 거래기업 등의 외부와의 정보네트워크화 또는 각종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경영정보환경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3.3 거래선, 소비자와의 밀착화
정보기술은 조직 내의 기능 부서들간의 통합 뿐만 아니라 거래선, 소비자 등과 같은 조직 외부와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사회적 생산 네트워크에는 여러 경제 주체들이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일련의 생산 네트워크의 일부분의 기능을 담당하는 하나의 주체이다. 생산 네트워크에서 기업과 관련된 경제 주체들로는 부품 공급업자, 소비자, 경쟁업자 등을 볼 수 있다.
거래선과의 관계에서 기업은 정보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제휴나 협조관계를 통하여 거래관계의 정보나 시장관련 정보를 보다 원활하게 교환하고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거래선과의 관계가 점차적으로 고정되어 강화되고 있다. 아울러 소비자와의 관계에서도 기업은 인터넷을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직접마케팅(direct marketing) 등의 판매전략을 전개한다.
이에 따라서 소비자와의 관계가 점차적으로 고정화되어 강화되고 있다.
3.3 조직과 업무분담의 재정비
오늘날 기업들이 조직 재편성, 흡수나 합병, 위치 이전 등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이 지니고 있는 연결성(connectivity)을 기업 내부에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기업은 자신의 조직을 환경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개편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볼 때 기업의 조직구조는 그 기업이 처한 환경 여건에 따라 크게 중앙집중식 조직구조나 분산형 조직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두 조직 구조는 제각기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정보기술을 이용하면 집중식 조직구조가 만들어 내는 규모의 경제와 기업조직의 개별 단위들이 완전히 자율적인 것처럼 운영하도록 하는 분권화의 이점을 함께 누릴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은 가장 경쟁력이 있는 핵심 분야는 기업이 직접 담당하고 그렇지 못한 부문들은 외부화(outsourcing)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화한 기능들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적절하게 계획하고 통제함으로써 기업은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3.5 세계화에의 대응
교통수단과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기업의 경영활동은 자국 뿐만이 아니라 국경이라는 물리적 장벽을 넘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세계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전 세계적 시장을 대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 기업은 여러 국가에 걸쳐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업 영역의 확장은 기업에게 관리상의 어려움을 주게 된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고 원활한 기업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업은 국내외 경영정보의 신속한 집약 및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것은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
해외의 지점망이나 제휴기업과의 네트워크화, 해외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서 기업은 국제적인 정보 네트워크를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기업은 관련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의 기업은 장소적, 시간적 장애을 극복하고 세계의 언제, 어느곳에서든 경영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3.6 경영전략의 혁신
최근 많은 기업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빠른 기술혁신과 구조변화의 진정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경쟁우위 확보가 필수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기업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경쟁우위 전략을 계획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기업의 경쟁 형태는 전과는 다른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
또한 경쟁무기로서 정보기술의 활용(SIS)이 확대되고 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에 따라 기업들은 정보통신을 전담하는 최고 경영자층(CIO)을 두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계획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3.7 새로운 분야에로의 진출
정보통신의 활용을 통해 인적, 물적 자원, 정보 등의 경쟁자원을 결속함으로써 종합적 관리가 가능케 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진출의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연관 분야에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상품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정보기술은 기업으로 하여금 새로운 사업 영역에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무점포 판매 등의 새로운 유통 경로와 기법의 개발로 기업이 고객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은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기업의 업태를 혁신시킬 수 있고 신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4. 조직기능별 하위 정보시스템
대부분의 조직들은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지는데, 전통적인 경영학에서 이러한 기능은 회계, 재무, 마케팅, 인사. 연구개발, 생산 등으로 나누어진다.
각 조직기능에서 수행되는 업무들은 필요한 정보내용이나 일의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각 조직기능에서의 업무성과는 각 기능별 특성에 적합한 정보시tm템이 구축됨으로써 보다 향상될 수 있다.
4.1 생산정보시스템
생산활동은 기술발전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 분야이다. 최근 십여년 동안의 급격한 기술발전으로 인해 생산활동은 극적으로 향상되었다.
특히, 품질과 생산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과정은 매우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반 요인들은 생산현장에서부터 경영진에 이르는 모든 경영계층에 걸쳐 컴퓨터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림 12-1)은 생산정보시스템의 입력, 하위시스템, 산출에 대한 개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12-1) 생산정보시스템의 구성(생략)
1) 생산정보시스템의 투입요소
생산정보시스템의 입력요소는 주로 조직 전체에 걸쳐 흐르는 원자재, 재공품, 완제품들의 변환과정을 다루는 제조활동 결과로부터 나온다.
몇몇 외부 자료원들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정보원은 내부에 있다.
생산 정보시스템의 입력요소들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살펴볼 수 있다.
(1) 전략계획과 기업정책
생산정보시스템의 전반적인 방향은 전략계획으로부터 결정된다.
이러한 장기 전략계획에는 기업이 추구하고 있는 품질, 생산성, 서비스 목표, 제약요인 등이 명시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공장 생산능력의 확장이나 공장폐쇄에 관련된 내용들도 이러한 계획에 반영될 수 있다.
전략계획으로부터 비롯된 생산정보시스템의 입력요소로 제조능력의 개선목표, 활용가능한 종업원수, 재고정책의 변화정도, 새로운 품질통제 프로그램 등이다.
(2) TPS
생산정보시스템의 입력요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TPS 산출 데이터이다.
생산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주요 TPS 데이터로 원자재조달 데이터, 품질검사 데이터, 재고 데이터, 인적자원 데이터, 생산 데이터, 주문처리 데이터 등이 있는데,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같다.
#1 원자재 조달 및 품질검사 데이터
제조기업의 경우 조달부서는 원자재 및 부품들을 구입하고, 검사하고, 관련부서 로 공급해주는 활동을 수행한다.
조달부서(또는 검사부서)는 조달된 원재료의 품질을 검사하고 그 결과를 TPS에 입 력한다.
TPS에 입력된 자료들은 생산정보시스템에 재입력되어 원자재의 수량, 품질, 도착일 자 등에 대한 보고서로 산출된다.
생산담당중역은 원자재를 납품하는 공급업자들을 관리, 감독하기 위해 이러한 보고 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2 재고 데이터
원자재, 재공품, 완성품 등에 대한 수량과 사용 여부는 컴퓨터 파일로 저장되고 날 마다 또는 매시간 갱신되며, 이것은 생산정보시스템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정보원 이 된다.
재고 보고서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재고부족량, 품질불량, 재고초과보유량 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3 인적자원 데이터
기업의 인적 구성요소 즉, 인적자원은 총비용과 제품의 품질, 총이익 등에 매우 중 요한 요소가 된다.
이것은 특히 숙련된 기술을 지니고 있는 고임금 종업원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특히 그렇다.
인적자원과 관련된 데이터는 전통적인 임금지불 프로세스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출퇴근 및 근무기록카드는 종업원들의 작업시간 파악에 이용되고 있다.
임금 외에 의료 프로그램, 퇴직, 성과급 지급 계획, 그 외 다른 부가급부 등이 고려 될 수 있다.
수집된 노동 및 인적자원 데이터는 생산정보시스템에 의해 처리되어 다양한 보고 및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된다. 제조활동에 요구되는 직무설계와 시간계획표 작성에 는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4 생산과정
조립라인, 장비 및 기계, 품질검사, 유지보수 등을 포함하는 생산과정은 작업비용, 계획생산문제, 장비의 활용 등의 데이터를 산출해 낸다. 컴퓨터 파일에 포함된 이 러한 데이터들은 제품과 서비스의 제조과정에서 수집된다. 작업시간, 작업비용, 자 재흐름보고서, 생산계획 등의 데이터는 생산과정의 결과로서 생산정보시스템에 입 력, 처리, 출력된다.
#5 주문처리
생산과정은 소비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주문을 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주문처리시스템(order processing system)은 생산 라이프사이클의 초기 단계에 활 용된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으로, 거래처리시스템이나 정보보고시스템과 밀접하게 관 련된 중요한 하위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이 시스템은 주문입력뿐만 아니라 편집, 주문확인, 마스터파일의 갱신, 주문취소, 미리 받은 주문의 조정 등에 이르는 제반 관련 내용들을 다룬다.
주문처리시스템은 판매원의 수수료, 가격인상, 수량할인, 정산, 세금 등의 데이터를 산출하며, 필요한 경우 주석을 달 수 있다.
주문처리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제조부문은 새로운 원자재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기능부서들도 주문처리시스템으로부터 나온 데이터를 각 기능부서의 목적에 맞게 이용할 수 있다.
주문 요약보고서는 고객별, 제품별, 지역별 판매활동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 은 정보들은 마케팅 관리자의 주된 관심대상이 된다.
가령, 마케팅 관리자는 어느 고객이 기업의 이익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지 를 이러한 주문 요약보고서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특별 고객 인센티브와 보너 스 등의 관련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
(3) 외부자료
새로운 제조기술, 새로운 설계기법 등의 정보들은 외부 기업이나 세미나, 대학, 공급업자, 고객, 잡지, 기타 간행물 등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데이터들을 입수함으로써 기업은 가장 최신의 제조기술, 조립과정, 공정기법 등에 있어서 앞서갈 수 있다. 노동인력의 공급상황, 인플레이션, 일반 경제관련 데이터 등은 노동비나 원자재 가격 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울러 동료, 전문가, 기업협회 등을 포함하는 비공식 정보 원천들은 경쟁상황, 최신의 생산기술, 새로운 고객과 소비자를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생산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과 산출물
생산정보시스템 하위시스템들은 원자재, 제품, 서비스의 흐름을 추적하고 통제할 수 있다. 공급업자들이 제공하는 원자재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인도되는 최종제품에 이르기까지, 생산정보시스템은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좋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업의 성공은 생산기능의 효과적인 운영에 크게 의존하는데, 생산에 사용되는 몇몇 중요한 하위시스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디자인과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부서는 제품개발의 초기단계에서부터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쏟는다.
부품의 크기와 모양, 전자부품들의 부착 위치, 제품에 컨트를 기능이 놓여지는 위치, 부품의 조립순서 등은 주로 디자인과 엔지니어링부문에 의해 결정된다.
CAD(Computer Aided Design)는 이러한 설계과정을 지원해준다.
디자인과 엔지니어링부서에서 산출된 데이터는 기존의 제품이 지닌 문제점을 분석하고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CAD시스템은 제품의 개선이나 변경시 유용하게 활용된다.
(2) 총괄생산계획
총괄생산계획의 주된 목표는 생산설비에 대한 장, 단기 계획에 대한 세부방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총괄생산계획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수요를 결정하는 예측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총괄생산계획 패키지는 현재의 수요가 결정되고 미래의 수요가 예측되고 나면 제조설비와 관련장비들에 대한 최적 배치안을 결정할 수 있다.
종합생산계획 프로그램은 미래 수요량에 맞는 총생산량을 결정해 낸다.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또한 민감도 분석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관리자들은 예상 수요량과 예상 비용치들이 변화함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 볼 수 있다.
생산계획은 제조과정 전체에 걸쳐 중요한 요소이다.
총괄생산계획 패키지로부터 나온 정보는 운영 및 생산이 전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재고통제, 노동인력 계획, 제품의 인도, 유지보수 등을 다루는 프로그램들은 총괄생산 계획이 산출정보에 크게 의존한다.
(3) 재고통제 시스템
제조과정의 중요한 열쇠는 재고통제이다. 자동화된 재주문, 예측, 문서와 보고서의 작성, 제조비용의 경우, 예산비용과 실제비용의 차이분석, 총괄생산 계획, 인적 요구사항 등의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와 정보처리기술, 소프트웨어 기술 등에 있어서의 놀라운 발전을 가져와 효과적인 비용으로 패키지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재고통제 프로그램들은 수학공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공식들은 주문량과 주문시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주문량을 결정하는 한 방법이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 EOQ)이다.
EOQ는 총재고비율을 최고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주문시기를 결정하는 문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재고의 사용량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형적으로 주문시기는 재주문점(Reorder Point: ROP)으로 결정된다.
특정항목에 대한 재고수준이 재주문점 이하로 떨어질 때 그 제품에 대한 EOQ가 즉각적으로 주문된다.
어떤 재고 항목들은 종속적인 재고일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는 다섯 개의 타이어(보조 타이어 포함)와 엔진, 변속기 등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엔진은 카뷰레타(carburetor), 흡입기관, 매출기관, 엔진블럭 등으로 세분될 수 있으며, 이러
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볼트, 너트, 니트 및 그외 다른 부품들로 세분될 수 있다.
자동차를 생산하려면 생산에 필요한 하위 구성부들과 하위 조립라인가지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최신의 재고통제 프로그램들은 한 항목에 대한 수요가 다른 항목에 대한 수요에 종속적일 때, 관련된 수천 개의 재고부품들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데, 이러한 재고기법을 특
히 자재소재 계획(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MRP)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기법들은 제조기업들이 품질이나 재고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지연을 최소화시키면서 동시에 재고수준을 줄임으로써 재고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부분의 재고통제 프로그램들은 경영자들이 각자의 문제들을 다를 수 있도록 변경 가능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따라서 재고정책, 재주문점, 주문량 등은 변경되어 재고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훌륭한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JIT 재고 및 제조
공장현장에서 많은 재고를 적재함으로써 재고비용을 높이고, 부품을 손상시키며, 제조과정을 비효율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제조기업들은 JIT(Just In Time)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JIT 방식에서는 재고와 원자재들이 필요할 때에 필요한 양만큼 도달하게 된다.
JIT 방식의 재고통제기법이 성공적으로 운영됨으로써, 생산 프로세스의 다른 측면으로 그 적용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원자재, 부품 등의 생산 재료들은 몇 달 또는 몇 주 앞서 창고에 저장되기 보다는 필요한 때 납품된다.
JIT방식은 재고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급자와 제조기업들 사이에 원활한 조정과 협력이 전제되마야 한다.
(5) CAM
컴퓨터는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통해 제조장비를 직접 통제할 수 있다. CAM시스템은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제조라인, 그 외 다른 많은 장비들을 통제할 수 있다.
이들 중의 일부는 소음 없이 작동되며, 프로그램하기 쉽고, 컴퓨터시스템이나 제조장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다.
(6) CIM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은 컴퓨터 통합생산 이라는 용어 자체에서도 나타나 있듯이, 생산과정의 구성요소들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합된 시스템으로 효과적으로
연결한다.
CIM의 목표는 주문처리, 제품설계, 제조, 품질검사, 품질통제, 선적 등 생산의 모든 측면을 함께 묶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접근법이 상당한 수준으로까지 활용되고 있다.
(7) FMS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는 제조설비가 제품변경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FMS의 주요 특징은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품변경에 따라 제조설비도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조립라인은 자동차, 오디오, 자전거 등의 제품을 단지 한 가지 형태로 생산할 수밖에 없었다.
모델이나 제품변경을 위해서는 몇 일 또는 몇 달 걸렸으며, 또한 많은 비용을 수반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설비들은 탄력적이고 고객의 욕구나 경쟁에 반응할 수 있는 동력이다.
과거의 제조시스템으로 새로운 모델이나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몇 년이 소요되지만, 오늘날의 FMS로는 이러한 반응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보다 반응적이고 이익 창출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은 전 세계적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지니기 위해서는 이러한 탄력성은 매우 중요하다.
FMS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시스템, 로봇공학, 그 외 다른 자동화된 제조 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제품 명세서가 컴퓨터에 입력되면, 컴퓨터는 다른 필요한 변화를 처리한다.
비록 완전한 형태의 FMS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적지만,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접근법을 적용하는 추세이다.
(8) 품질통제와 테스트
소비자들의 요구사항 증대, 생산성과 고품질에 대한 관심의 증대 등으로 오늘날의 제조기업들은 품질통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두게 되었다.
연속 제조과정 경우, 무게, 부피, 온도, 관련 속성들을 측정하기 위해 관리도(control chart)를 사용한다.
품질의 상한값이 정해져 있어 이러한 한계를 초과하면 품질문제를 야기시키는 장비 및 관련문제들을 점검하게 된다.
반면, 제조과정이 연속적이지 않을 때에는 생산자나 소비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품을 채택하거나 기각할 수 있도록 샘플링 계획이 개발된다.
허용발췌검사(acceptance sampling)는 볼트나 너트와 같은 간단한 부품에서부터 비행기와 같이 복잡한 부품에 이르기까지 사용가능하다.
품질관리도와 허용 발췌검사를 개발하는 복잡한 계산과정이 수반된다. 품질관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적정 허용발췌검사 계획과 품질관리도 한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품질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산출된 정보는 관리자들이 제조장비상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품질관리 보고서는 또한 보다 나은 제품을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2 마케팅 정보시스템
마케팅정보시스템은 제품개발, 유통, 가격결정, 촉진효율성, 판매예측 등의 관리 활동을 지원해준다.
(그림 12-2)는 전형적인 마케팅 정보시스템의 입력, 하위시스템, 출력을 보여주고 있다
1) 마케팅정보시스템의 입력요소
마케팅정보시스템은 다른 어떤 기능부서보다도 외부의 데이터에 더 많이 의존한다.
이러한 일부 데이터의 원천으로 경쟁사, 고객, 신문, 전문잡지 등의 정기간행물, 출판물 등이 있다. 또한 중요한 내부 데이터 원천도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략계획이나 기업정책
기업의 전략계획에 따라 마케팅의 목표들은 어느 정도 결정된다.
전략계획이나 기업정책은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틀을 제시해준다.
예를 들어 전략계획에 다음 5년 동안 매출액을 5%씩 꾸준히 향상시켜 나갈 것이라고 설정되어 있다면, 마케팅 정보시스템 보고서는 이러한 전략적 목표를 반영하여 매출성과를 결정할 것이다.
마케팅정보시스템은 판매원, 제품가격결정, 유통채널, 신제품의 특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략계획을 기반으로 입력, 처리, 출력한다.
(2) TPS
TPS는 매출액에 대한 데이터와 제품, 고객, 판매원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매출액 데이터는 어떤 제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고 어떤 제품이 덜 판매되고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마케팅정보시스템은 매출 및 촉진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방식으로 정보를 산출해낼 수 있다.
또한 마케팅정보시스템은 제품개발에 관한 의사결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고객별 매출 데이터는 어떤 고객의 기업이익에 공헌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판매원의 성과 또한 TPS 데이터로부터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은 성과를 낸 판매부분 또는 판매원에 대해 보상하거나 기업의 이익에 가장 많은 공헌을 한 고객에게 보상할 수 있도록 보너스 및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다.
(3) 외부자료
마케팅 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정보는 전략계획이나 기업정책, TPS 자료 등의 내부 정보외에도 경쟁사에 관한 정보나 시장에 관한 정보 등의 외부 정보가 있다.
마케팅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정보는 후자 정보가 특히 중요시 되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경쟁사
경쟁사에 대한 제반 정보, 예컨데 신제품, 가격결정전략, 제품라인의 강, 약점, 포장, 마케팅, 고객에로의 상품인도 등에 관한 데이터는 대부분 조직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경쟁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를 안다는 것은 새로운 제품설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또한 기존의 제품라인을 마케팅하고 판매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경쟁사에 관한 정보는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경쟁사에 의해 제공된 마케팅자료, 팜플렛, 팔매 프로그램 등이 외부 정보원천의 전형적인 예이다.
고객과 다른 사업 관련기관들 또한 경쟁사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다.
가끔 경쟁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불법적인 수단들이 동원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훔치고, 금지된 제품을 불법적으로 구입하고, 산업계획 및 설계도를 훔치고 하는 행위들이 이에 속한다.
#2 시장
마케팅정보시스템 또 다른 외부 정보원천은 바로 기업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시장이다. 물론 자사의 제품판매에 관한 TPS 자료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지만 새로운 시장에서의 구매행위와 선호도에 대한 통찰은 단지 기업 외부 원천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시장조사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은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2) 마케팅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과 출력물
마케팅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은 마제팅조사, 제품, 유통경로, 촉진, 가격 등의 하위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위시스템들과 그 출력물들을 활용하여 마케팅 담당자나 중역들은 매출액을 향상시키고,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변화끓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1) 마케팅 조사
설문(survey), 질문서(questionaire), 준비조사(pilot study), 인터뷰(interview)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케팅조사 기법들이다.
시장조사가 시장과 고객의 선호도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라면, 마케팅조사는 고객들이 제품 및 서비스로부터 진정으로 원하는 것들을 발견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스타일, 색상, 크기, 외관 등이 마케팅조사를 통해 분석될 수 있으며, 가격결정, 유통채널, 품질보증, 고객서비스 등에 대한 내용 또한 마케팅조사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마케팅조사 프로젝트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컴퓨터프로그램과 통계분석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은 추세를 분석하고, 가설을 검증하고, 상관계수들을 계산하고, 그 외 다른 내용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종종 마케팅정보시스템으로 입력되어 마케팅 관리자가 보다 많은 정보들을 분석하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2) 제품개발
제품개발은 원재료를 최종제품 및 서비스로 전환하는 것까지를 말하며, 특히 제품의 물리적 속성들에 초점을 둔다.
공장의 시설능력, 기술 숙련도, 엔지니어링 요소, 자재 등을 포함하는 많은 요소들은 제품개발 의사결정에 있어서 중요하다.
많은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노동, 자재, 공장, 장비, 디자인 등의 적정 믹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품을 자체생산할 것인가, 외부구입할 것인가에 관한 의사결정 또한 컴퓨터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3) 입지와 유통망 계획
입지와 유통망 계획은 생산설비와 유통설비의 위치를 다룬다. 고객의 제품을 어디로 건네줄 것인가,
그리고 제품을 그 장소로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위치 분석 하위시스템의 주요한 관심사이다.
전형적으로 유통사슬은 제조공장에서 출발하여 최종 소비자에서 끝을 맺는다.
최종 소비자에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인도하기 위해 중간에 도 소매망이 개입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설비, 도매망, 소매망 등을 어떻게 위치시키는 것이 최적인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제조비용, 수송비용, 노동비용, 지역이 수요등의 제반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오늘날, 마케팅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은 이러한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고, 제조설비, 도매망, 소매망 등을 고려한 최적의 장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촉진과 광고
마케팅 노력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가 판매촉진과 광고이다. 일단 잘 만들어진 제품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판매촉진 및 광고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판매촉진 전체 예산액과 다양한 판매촉진 프로그램의 예산할당은 착수될 캠페인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캠페인의 유형으로 TV 방송 도달범위, 신문광고 도달범위, 판매촉진 팜플렛과 인쇄물, 판매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예산을 작성하고, 다양한 판매촉진 캠페인의 전반적인 효과성과 비용을 추적하는 데에 컴퓨터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촉진의 효과성은 TPS를 통해 검토될 수 있고, 또한 단지 판매활동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전문시스템을 통해서 검토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전문시스템은 어떤 판매촉진활동이 촉진기간 동안에 얼마나 효과적이었는가를 소매점의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분석할 수 있다.
(5) 제품의 가격결정
제품의 가격결정 역시 중요하고 복잡한 마케팅 기능으로 소매가격, 도매가격, 가격할인등이 결정되어야 한다.
가격결정의 주요 요소 가운데 하나가 수요곡선 분석이다.
수요곡선은 가격과 판매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 회사들은 총판매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격결정책을 개발하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보통 가격 탄력성과 크게 관련되어 있다.
가령 제품이 가격에 매우 민감하다면 즉, 제품의 가격탄력성이 높다면 가격할인은 매출액을 크게 증가시켜 결국 높은 수익을 낼 것이고, 반면 제품이 가격변화에 덜 민감하다면 수요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가격을 인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은 이러한 가격 탄력성을 고려한 가격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매출액 분석은 제품의 이익 공헌도, 판매원, 고객 등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마케팅 관리자들이 적정한 판매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관련 보고서들을 산출해 낼수 있다.
제품별 매출액 보고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주요 제품들의 목록과 그러한 제품의 매출액 목록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보고서는 어떤 제품들이 잘 판매되고 있으며, 어떤 제품들이 개선의 필요가 있는지, 또는 어떤 제품들이 폐기될 필요가 있는지 등을 나타내준다.
판매원별 매출액 보고서는 매달 또는 매주 동안 각 판매원 총매출액 목록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보고서는 제품들이 판매원별로 어떻게 판매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제품별로 세분되어 보고될 수 있다.
고객별 매출액 보고서는 대량(또는 소량) 구매자들이 누구인가 확인하는 좋은 지침이 된다.
마케팅 기능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판매예측이다. 판매예측에는 정교한 예측기법들이
사용되는데 수요나 판매활동을 예측하기 위해 역사적 데이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예측기법들은 경향분석(trend analysis), 이동평균(moving average), 지수평활
(exponential smoothing)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측기법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처리를 필요로 한다.
4.3 재무정보시스템
재무기능은 기업에서의 현금과 이익의 흐름을 추적, 관리한다. 따라서 재무정보시스템의 목표는 재무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원들의 업무향상을 위한 최선의 정보처리지원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재무정보시스템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자료원천으로부터 비롯된 재무 및 운영활동 정보를 단일의 Is로 통합 해준다.
#2 재무관련 정보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용이하게 공급해준다.
#3 정보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데이타를 시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4 시간별, 지역별, 제품별, 공장별, 고객별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5 미래 현금흐름 예측 등의 what-if분석 모델을 제공해준다.
#6 과거와 현재의 재무활동을 분석 한다.
#7 시간의 경과에 다른 자금사용내역을 추적하고 통제한다.
[그림 12-3]은 재무정보시스템의 입력요소, 하위시스템, 출력요소를 나타내는데,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생략)
1) 재무정보시스템의 투입요소
재무관련 의사결정에는 다양한 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재무정보시스템에서도 관련 의사결정자들의 정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입력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재무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요소들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있다.
(1) 전략계획이나 기업정책
전략계획에는 재무적 목표, 자산과 부채비율, 기대수익률 등과 같은 주요 재무목표들이 포함된다.
많은 경우 전략계획은 미래의(약 5년) 재무적 욕구들을 반영하고 있다 투자자의 투자수익률, 바람직한 자산부채비율, 예상 투자액 등과 같은 정보욕구들은 전략계획으로부터 직접 도출된다.
(2) 거래처리시스템 (TPS)
중요한 재무정보는 임금지급, 재고통제, 주문입력, 외상매입, 외상매출, 총계정원장 등의 TPS로부터 거의 대부분 수집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는 다양한 재무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기본이 된다.
(3) 외부자료
경쟁기업 관련 정보는 재무적 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경쟁기업의 연차보고서나 재무제표, 일반적인 새로운 보고서 등은 측정이나 비교의 척도로서 재무정보시스템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정부기관도 경제적, 재무적으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인플레이션, 소비자 물가지수, 주요 경제지표 등은 기업들이 미래의 경제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중요한 세금정책, 재무보고서 준수사항등은 재무정보시스템 입력요소가 될 수 있다.
2) 재무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과 출력물
재무정보시스템은 현금, 자금 및 기타 재무적 자원을 획득하고, 사용하고, 통제하는 활동을 지원하는 내부시스템과 외부시스템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재무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에는 재무적 예측치, 손익비용시스템, 감사 등이 포함된다.
각 하위시스템들은 TPS와 상호작용하며, 재무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보고서를 출력해 낸다.
이러한 출력물로 재무예측 보고서, 내외 감사 보고서, 손익비용 보고서, 재무제표, 자금의 사용 관리 보고서 등이 있다
(1) 재무예측 보고서
미래의 제품이나 조직의 성장에 대한 개괄적인 재무 예측과정은 사업활동 계획에 기반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제품과 서비스의 예상 매출량은 기대수익과 기대비용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령, 단위당 판매가격과 제품원가 데이터는 예상 판매량과 곱해져 수익과 비용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보험료, 임대료, 사무간접비용 등과 같은 고정비는 월별, 분기별, 연별 기대 순이익을 결정하기 위해 평가되고 사용된다.
이러한 예측치들은 재무정보시스템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재무예측을 위한 하위시스템은 다른 하위시스템(예를 들어 마케팅 예측시스템)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운영된다.
예컨대 재무정보시스템은 마케팅정보시스템의 시장조사 시스템으로부터 예상 판매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측하는 것은 견실한 재무관리를 위한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부적절한 현금흐름관리는 사업실패와 기업파산의 주요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무관리자와 중역들은 미래현금수요를 예상하기 위해 예측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재무예측은 재무담당자가 현금흐름의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현금흐름과 관련된 문제들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2) 손익 비용시스템
재무기능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손익시스템과 비용시스템이 있다.
여러 부서에서 발생되는 수익과 비용 데이터는 TPS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재무정보의 중요한 내부원천이 된다.
기업 내 어떤 부서는 이익센터(profit center)로서 총수익과 총비용, 순이익 등을 모두 담당하는데, 대형 보험회사나 신용카드회사의 투자부서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마케팅부서나 판매부서처럼 매출이나 수익을 주로 담당하는 기업 내의 부서들은 수익 센터(revenue center)에 해당되며, 생산부서나 연구개발부서와 같이 수익을 직접 창출하지 않는 기업 내의 부서들은 비용센터(cost center)에 해당된다.
이익센터, 수익센터, 비용센터 등에서 산출된 데이터는 대개의 경우 TPS를 통해, 그러나 가끔은 다른 경로를 통해 요약되어 재무정보시스템에 의해 보고된다.
(3) 감사
기업 경영자들은 그들의 업무수행결과가 목표이익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재무정보시스템의 재무제표 보고서를 참조한다.
아울러 조직 밖에 있는 이해관계자들 또한 마찬가지로 이러한 보고서를 참조한다.
이들은 재무제표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그리고 조직의 재무상태를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감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감사(auditing)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고, 재무정보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재무제표와 보고서가 정확한지를 결정하는 활동이다.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등 재무제표는 많은 사람들과 관련 조직들(투자자, 은행, 보험회사, 정부기관, 경영자, 고객)에 의해 이용되기 때문에 감사절차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감사활동에는 내부감사와 외부감사가 있다.
내부감사는 조직 내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으로, 예컨대 재무부서는 감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 내 여러 사람으로 구성된 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외부감사는 회계법인이나 컨설팅회사와 같은 외부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으로, 외부감사 목적은 조직의 재무상태에 대해 편견이 배제된 참된 그림을 제공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4) 자금의 사용과 관리
자금의 사용과 관리는 재무정보시스템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이다.
자금을 효과적으로 사용, 관리하지 못하면 이익예 부정적인 영향을 주거나, 심한 경우 기업이 파산할 수도 있다.
자금의 사용, 관리를 담당하는 하위시스템으로부터 나온 결과물들은 재무정보시스템의 다른 내용들과 결합됨으로써, 현금흐름상의 심각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기업의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자금의 내부적 사용에는 추가적인 재고보류, 새로운 또는 개선된 공장과 장비 보유, 추가적 노동투입량, 기업의 인수, 새로운 컴퓨터시스템 도입, 마케팅과 광고활동, 원자재, 토지 신제품,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등이 있다.
자금의 외부적 사용은 투자활동과 관련된다.
기업은 경우에 따라 판매로부터 조달된 잉여현금흐름을 외부에 투자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자금의 은행저축, 주식, 사채, 어음, 채권, 옵션, 외환 등에 대한 투자를 들 수 있다.
4.4 회계정보시스템
대부분의 성공적인 기업들은 그 규모에 관계없이 회계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회계정보시스템은 외상매입금, 임금, 그외 다른 많은 기능 등이 종합된 정보를 제공하면서 많은 중요한 활동들을 수행한다.
기업의 TPS는 회계자료와 관련된 많은 내용들을 처리하는데 이러한 TPS로부터 산출된 자료들은 또한 다른 기능별 정보시스템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대부분의 대기업들과 중간규모의 기업들은 회계활동을 기업 내에서 수행하지만, 소기업들은 외부 회계 컨설팅회사로부터 회계기능의 업무를 지원받는다.
이러한 외부기업들은 원시 회계자료를 사용하여 그 기업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현재 우수한 통합 회계프로그램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으며 소기업들도 대형컴퓨터가 아닌 개인용 컴퓨터로 충분히 운용할 수 있다.
컴퓨터로 처리되는 회계시스템은 소기업의 회계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비용 효과적으로 운영된다.
4.5 인사정보시스템
인사정보시스템은 인적자원 관리자들을 지원해 준다.
몇몇 기업들은 테스터와 심사 프로그램들과 같이 상당히 자동화된 테스팅 및 종업원 심사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채용될 종업원의 기술과 능력을 결정하는 업무를 지원 받는다.
적절치 못한 종업원을 고용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기업에게 있어 매우 손해가 될 수 있고, 교육훈련에 소요되는 막대한 경비를 낭비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더욱이 비생산적이고 숙련되지 않은 종업원들은 제품생산이나 판단상의 실수를 야기시킴으로써 조직에 커다란 피해를 입힐 수 도 있다.
인사정보시스템에는 또한 종업원 통제 프로그램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종업원들과 컴퓨터 사용자들은 중앙의 컴퓨터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이러한 통제 프로그램들은 각각의 종업원들이 근무 시간에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는데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많은 논쟁거리가 되기도 한다.
인사정보시스템은 또한 추가적 부가급부, 추가적 휴가기간, 업무환경의 개선 등의 잠재적 비용, 효익을 분석함으로써 노사협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관리자들이 노동조합과 작업집단에 대한 건전한 제안들을 개발하는 것을 지원해줄 수도 있다.
연습문제
1. 정보시스템의 기본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라.
2. 경영활동수준에 따른 요구정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라.
3. 거래처리시스템, 정보보고시스템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차이를 설명하라.
4. 중역정보시스템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라.
5. 정보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라.
6. 기업경영에서의 정보시스템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라
7. 기업에서의 정보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라.
8. 생산 정보시스템에서의 하위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라.
9. 마케팅 정보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라.
10. 인사 정보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