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리, 집단, 팀
①무리
- 일 군(群)의 사람들이 신체적으로 가깝게 모여 있을 때 무리라고 함.
- 특정한 질서나 구조도 없고 공통의 목표도 없음.
② 집단과 팀의 차이
비교점 | 집단 | 팀 |
성과 | 각 개인이 기여한 결과로 얻어짐 | (개인의 기여+ 공동의 노력)으로 얻어짐 |
결고에 대한 책임 | 개인책임 | 팀원 공동의 책임 |
목표 | 구성원 공동목표 존재 | 팀 공동 목표에 몰입하는 상태 |
과업수행 | 관리적 요구에 부응 | 팀 스스로 설정한 과업 수행 |
③ 무리, 집단, 팀의 발전 단계
2. 집단연구의 모델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은 상호 교류를 통하여 자신이 소속된 집단의 규범과 가치를 공유하게 되면 소속된 집단을 하나의 운명공동체로 인식하면서 살아가게 됨
-집단의 형성과 발달의 통합 모델
<집단 형성의 이유>
-안정욕구 충족
-사회적 욕구 충족
-존경에 대한 욕구 충족
-근접성과 인간적 매력
-집단 목표
-경제적 이유
<집단의 유형>
-공식집단
명령 집단
과업집단
-비공식집단
이익집단
우호집단
<집단 발달단계>
-상호수용단게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단계
-동기부여와 생산성 향상 단계
-통제와 조직화 단계 등
<집단의 성격>
-구조
-수직적 계층화
-역할
-규범
-리더십
-응집력
-조직 내 갈등
<잠재적 결과>
-개인결과
-집단결과
-조직결과
3. 집단화의 이유
1) 개인의 욕구 충족
-특정한 집단에 소속하게 되었을 때, 그 집단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
-집단은 각 구성원들을 묶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게 하고, 그 안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해줌
→인간은 집단을 이룸으로써 소속감을 얻게 되고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
2)집단이 갖는 매력
①집단의 구성원들에게 매료 당하는 경우
-기존 구성원들과 참여하려는 개인간의 특성, 상황변수들을 중심으로 참여의 조건을 밝혀내려 함
-집단 참여 선택모델
지리적 근접성------- ┐
② 집단이 하는 행동에 이끌리는 경우
-지단활동의 내용이 개인으로 하여금 그 집단에 참여하게 되는 귀중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③집단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에 매력을 느끼는 경우
④ 특정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자격 자체를 원하는 경우
-특정 집단이 많은 사람들에게 명예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구성원의
자격획득이 어려울수록 그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는 사실 자체가 보상이 될 수 있음.
3) 경제적인 이유
-개인이 혼자 일을 할 때 보다 타인과 집단을 형성하여 일을 할 때 더 많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