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조직행위론-집단과 팀

다니엘22 2016. 9. 28. 11:12

1. 무리, 집단, 팀

①무리

- 일 군(群)의 사람들이 신체적으로 가깝게 모여 있을 때 무리라고 함.

- 특정한 질서나 구조도 없고 공통의 목표도 없음.

② 집단과 팀의 차이

 

비교점  집단  팀 
 성과  각 개인이 기여한 결과로 얻어짐  (개인의 기여+ 공동의 노력)으로 얻어짐
 결고에 대한 책임  개인책임  팀원 공동의 책임
 목표  구성원 공동목표 존재  팀 공동 목표에 몰입하는 상태
 과업수행  관리적 요구에 부응  팀 스스로 설정한 과업 수행

 

③ 무리, 집단, 팀의 발전 단계

 

 

2. 집단연구의 모델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은 상호 교류를 통하여 자신이 소속된 집단의 규범과 가치를 공유하게 되면 소속된 집단을 하나의 운명공동체로 인식하면서 살아가게 됨

-집단의 형성과 발달의 통합 모델

 

<집단 형성의 이유>

-안정욕구 충족

-사회적 욕구 충족

-존경에 대한 욕구 충족

-근접성과 인간적 매력

-집단 목표

-경제적 이유

<집단의 유형>

-공식집단

명령 집단

과업집단

 

-비공식집단

이익집단

우호집단

<집단 발달단계>

-상호수용단게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단계
-동기부여와 생산성 향상 단계

-통제와 조직화 단계 등

<집단의 성격>

-구조

-수직적 계층화

-역할

-규범

-리더십

-응집력

-조직 내 갈등

<잠재적 결과>

-개인결과

-집단결과

-조직결과

 

3. 집단화의 이유

1) 개인의 욕구 충족

-특정한 집단에 소속하게 되었을 때, 그 집단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

-집단은 각 구성원들을 묶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게 하고, 그 안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할 수 있게 해줌

→인간은 집단을 이룸으로써 소속감을 얻게 되고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

2)집단이 갖는 매력

①집단의 구성원들에게 매료 당하는 경우

-기존 구성원들과 참여하려는 개인간의 특성, 상황변수들을 중심으로 참여의 조건을 밝혀내려 함

-집단 참여 선택모델

 

                         지리적 근접성------- ┐

 

② 집단이 하는 행동에 이끌리는 경우

-지단활동의 내용이 개인으로 하여금 그 집단에 참여하게 되는 귀중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③집단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에 매력을 느끼는 경우

④ 특정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자격 자체를 원하는 경우

-특정 집단이 많은 사람들에게 명예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구성원의

자격획득이 어려울수록 그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는 사실 자체가 보상이 될 수 있음.

 

3) 경제적인 이유

-개인이 혼자 일을 할 때 보다 타인과 집단을 형성하여 일을 할 때 더 많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음

 

 

출처 : 학점은행제▶만학도◀시간제수업반값등록금
글쓴이 : 메신져7 원글보기
메모 :